Process Status의 약어를 이름으로 사용한 ps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구동 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명령어와 함께 사용되는 주요 옵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-e: 현재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이 구동시킨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줍니다. (즉, -e 옵션이 없다면 ps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(Shell)이 실행 중인 프로세스만 보여줍니다.)
- -f: 보다 상세한 정보를 보여줍니다. (Full format)
- -l: -f 보다 더 상세한 정보를 보여줍니다. (Long format)
ps -efl 명령어를 통해 출력되는 결과의 각 필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. (실행 환경마다 필드의 이름 혹은 출력 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.)
- F: 프로세스 플래그.
- 4: used super-user privileges
- 1: forked but didn't exec
- 5: 4 & 1 플래그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
- 0: 어떤 플래그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
- S: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
- R: 실행 중 혹은 실행될 수 있는 상태
- S: 대기 상태 (약 20초 이상)
- I: 대기 상태 (약 20초 이하)
- T: 작업 제어에 의해 정지된 상태
- D: 디스크 관련 대기 상태
- P: 페이지 관련 대기 상태
- X: 메모리 확보를 위한 대기 상태
- >: 인위적으로 우선 순위가 높아진 상태
- Z: 좀비 프로세스
- UID: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 ID
- PID: 프로세스에 부여된 ID
- PPID: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 ID (Parent Process ID)
- C: CPU 사용량(%)
- PRI: 프로세스 우선순위
- NI: 프로세스의 CPU 자원 사용 우선순위 (Nice)
- ADDR: 프로세스의 메모리 주소
- SZ: 가상 메모리 사용량
- STIME: 프로세스 시작 시간
- TTY: 프로세스가 실행된 터미널의 종류와 번호
- TIME: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된 CPU 시간
- CMD: 실행된 프로세스의 이름 혹은 실행된 명령
잘못된 내용, 오타, 부정확한 문장 등 어떤 피드백이든 환영합니다. 감사합니다.
References
https://ghj1001020.tistory.com/280
https://faq.hostway.co.kr/?mid=Linux_ETC&page=7&document_srl=1540
'C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리눅스의 기본 구조: kernel, shell, process and shell session (0) | 2022.04.25 |
---|---|
[Linux] nohup 명령어 (0) | 2022.04.18 |